欲速不達

일을 급히 하고자 서두르면 도리어 이루지 못한다.

Fantastic AI, Fantastic World

DS | Data Science/Alogithm & Coding Test - Python

[프로그래머스] 연습문제 - 부대복귀(파이썬)

_껀이_ 2022. 11. 14. 11:42
728x90
반응형

1. 문제 설명

강철부대의 각 부대원이 여러 지역에 뿔뿔이 흩어져 특수 임무를 수행 중입니다. 지도에서 강철부대가 위치한 지역을 포함한 각 지역은 유일한 번호로 구분되며, 두 지역 간의 길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모두 1로 동일합니다. 임무를 수행한 각 부대원은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시간에 부대로 복귀하고자 합니다. 다만 적군의 방해로 인해, 임무의 시작 때와 다르게 되돌아오는 경로가 없어져 복귀가 불가능한 부대원도 있을 수 있습니다.

강철부대가 위치한 지역을 포함한 총지역의 수 n, 두 지역을 왕복할 수 있는 길 정보를 담은 2차원 정수 배열 roads, 각 부대원이 위치한 서로 다른 지역들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sources, 강철부대의 지역 destination이 주어졌을 때, 주어진 sources의 원소 순서대로 강철부대로 복귀할 수 있는 최단시간을 담은 배열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복귀가 불가능한 경우 해당 부대원의 최단시간은 -1입니다.

 

 

2. 제한사항

  • 3 ≤ n ≤ 100,000
    • 각 지역은 정수 1부터 n까지의 번호로 구분됩니다.
  • 2 ≤ roads의 길이 ≤ 500,000
    • roads의 원소의 길이 = 2
    • roads의 원소는 [a, b] 형태로 두 지역 a, b가 서로 왕복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1 ≤ a, b ≤ n, a ≠ b)
    • 동일한 정보가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
      • 동일한 [a, b]가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
      • [a, b]가 있다면 [b, a]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1 ≤ sources의 길이 ≤ 500
    • 1 ≤ sources[i] ≤ n
  • 1 ≤ destination ≤ n

 

입출력 예

n roads sources detination result
3 [[1, 2], [2, 3]] [2, 3] 1 [1, 2]
5 [[1, 2], [1, 4], [2, 4], [2, 5], [4, 5]] [1, 3, 5] 5 [2, -1, 0]

 

 

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지역 2는 지역 1과 길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 2에서 지역 1의 최단거리는 1입니다.
  • 지역 3에서 지역 1로 이동할 수 있는 최단경로는 지역 3 → 지역 2 → 지역 1 순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역 3에서 지역 1의 최단거리는 2입니다.
  • 따라서 [1, 2]를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지역 1에서 지역 5의 최단경로는 지역 1 → 지역 2 → 지역 5 또는 지역 1 → 지역 4 → 지역 5 순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단거리는 2입니다.
  • 지역 3에서 지역 5로 가는 경로가 없기 때문에, 지역 3에서 지역 5로 가는 최단거리는 -1입니다.
  • 지역 5에서 지역 5는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최단거리는 0입니다.
  • 따라서 [2, -1, 0]을 return합니다.

 

 

4. 풀이

1) 틀린 풀이

def search(start, roads, visited, destination):
    
    cnt=0
    for i in range(len(roads)):
        if roads[i][0]==start:
            index = roads.index(roads[i])
            if visited[index]==False:
                visited[index]=True
                start=roads[i][1]
                cnt+=1
                search(start, roads, visited, destination)
        
    return start, cnt


def solution(n, roads, sources, destination):
    visited = [False]*len(roads)
    
    answer = []
    while len(answer)<len(sources):
        for i in sources:
            start = i
            present, cnt = search(start, roads, visited, destination)
            if present==destination:
                answer.append(cnt)
            else:
                answer.append(-1)
            
    return answer

 

2) 맞은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n, roads, sources, destination):
    visit = [-1]*(n+1)
    graph = [[] for _ in range(n+1)]
    for start, end in roads:
        graph[start].append(end)
        graph[end].append(start)
    
    Q = deque([destination])
    visit[destination] = 0
    while Q:
        now = Q.popleft()
        for node in graph[now]:
            if visit[node]==-1:
                visit[node] = visit[now]+1
                Q.append(node)
    
    return [visit[i] for i in sources]

 

 

5. 회고

처음 생각해낸 풀이에서는 DFS를 주먹구구식으로 구현했었다. 입력 위치와 출력 위치가 고정적으로 운영되어서 주어진 roads에서 거꾸로 가는 방향은 체크하지 못했었다.

 

맞은 풀이에서는 그래프 형식으로 deque 기반 DFS로 간단하게 풀이된다.

탐색문제를 집중적으로 풀어볼 필요가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