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 | Data Science/Statistics & Math
[Linear Algebra] Part3. 전치(Transpose)
_껀이_
2024. 1. 2. 12:59
728x90
반응형
1. 전치 (Transpose)
전치는 대각성분 (Diagonal element : 행렬의 대각에 있는 성분)을 기준으로 행과 열의 성분을 교체하는 것이다.
$$ A = \begin{bmatrix} 1 & 2 & 3 \\ 4 & 5 & 6 \\ 7 & 8 & 9 \end{bmatrix}, A^\top = \begin{bmatrix} 1 & 4 & 7 \\ 2 & 5 & 8 \\ 3 & 6 & 9 \end{bmatrix} \\ B = \begin{bmatrix} 1 & 2 & 3 \\ \end{bmatrix}, B^\top = \begin{bmatrix} 1 \\ 2 \\ 3 \end{bmatrix} \\ \\ C = \begin{bmatrix} 1 \\ 2 \\ 3 \end{bmatrix}, C^\top = \begin{bmatrix} 1 & 2 & 3 \\ \end{bmatrix} \\ $$
2. 전치행렬의 특징
전치행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A^\top)^\top = A$
- 대각성분을 기준으로 나머지 성분이 대칭일 때 Symmetric Matrix(대칭행렬)이라고 한다.
- $A^\top = A$
- 복소행렬(Complex Matrix)에서 대칭행렬에 대응되는 것을 Hermitian Matrix라고 한다.
- $(A^\ast)^\top = A^H = A$
- 대각성분을 기준으로 나머지 성분이 대칭일 때 Symmetric Matrix(대칭행렬)이라고 한다.
- $(A+B)^\top = A^\top + B^\top$
- $(AB)^\top = B^\top A^\top$
- $(A^\top A)^\top = A^\top (A^\top)^\top = A^\top A : 대칭행렬$
- $(A A^\top)^\top = (A^\top)^\top A^\top = A A^\top : 대칭행렬$
- $(k A)^\top = kA^\top (k는 임의의 상수)$
- $det(A^\top) = det(A) : determinant(행렬식)$
- $(A^\top)^{-1} = (A^{-1})^\top = A^{-\top} : -1(역행렬)$
복소행렬과 Hermitian 행렬, 각각의 특징들의 증명과정은 추후 정리하도록 한다.
728x90
반응형